쉽고 빠른 K 패스 신청 방법 총정리, 10분 안에 신청 가능!

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인 K 패스에 대해 들어보셨나요? K 패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용 금액의 일정 부분을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K 패스 신청 방법, 신청 자격, 사용 방법 등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K 패스 신청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이번 글이 큰 도움이 되길 바라봅니다.


[ 글의 순서 ]


K 패스란?

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으로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대중교통 이용액 중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. 알뜰교통카드의 후신 사업으로서 2024년 5월 1일부로 시행되었습니다.

적립 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, 적립 비율은 일반 20%, 청년(만 19세~34세) 30%, 다자녀 부모 2자녀 30%, 3자녀 이상 50%, 저소득층 53%입니다.

적립 수단은 버스(광역버스 포함), 도시 · 광역철도(신분당선, GTX 등 포함), 공항철도 등이 있으며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, 공한버스 등 별도로 발권받아 탑승가능하고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
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 원까지는 적립 비율에 따라 환급 적용되며, 20만 원 초과 시 초과분은 이용요금의 50%만 적용됩니다. (경기, 인천은 해당하지 않음)

2025년부터 K 패스 정책이 변경되어, 1일 최대 적립횟수가 2회로 제한되었습니다.


K 패스 신청 자격

K 패스 신청 자격

K 패스 신청은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. 참여 지자체에 주민으로 등록되어있다면 외국인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K 패스 적립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K 패스 전용 카드 발급과 (알뜰교통카드도 가능) 홈페이지 또는 에서 회원가입이 꼭 필요합니다.

문의사항은 K 패스 이용 고객센터 031-427-4415로 연락하시면 됩니다.


K 패스 신청 방법

K 패스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[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]

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 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 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 2024년 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회원 전환일 또는 K 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
[ K 패스 카드 신규 가입 ]

K 패스 카드를 발급받고(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이 가능), K 패스 회원가입을 합니다. K 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이 가능해집니다.

K 패스 신청 방법 - 회원가입 절차
  1. 회원가입 화면 진입 (홈페이지 또는 앱)
  2.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, [유효성 체크] 클릭
  3. 필수 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 진행
  4. 주민등록번호 또는 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
  5.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

[ 그 외 문의하기 ]

  • 한국교통안전공단 054-459-7441, 7442, 7446
  •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044-201-5084, 5086
  • K 패스 고객센터 031-427-4415

K 패스 적립과 지급

K 패스 적립 안내

K 패스 적립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

K 패스 적립 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입니다. 적립금액은 일반 기준 20%, 청년은 30%, 저소득 계층은 53%, 다자녀 부모 중 2자녀는 30%, 3자녀는 50% 적립됩니다. 대중교통 월 이용요금 20만 원까지는 전액 인정되며, 20만 원 초과 시 이용요금의 50%만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 월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 원인 경우, 20만원+(2만 원×50%)=21만 원에 대한 20~53%의 환급률이 적용됩니다.

K 패스는 지역 별로 추가 혜택이 있습니다. 지자체 혜택은 별도의 가입 없이, K 패스 회원 중 해당 지자체 주민에게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 단, 자신 또는 타인의 영리 목적 등 부당한 이용이 확인되는 경우 이용을 제한 할 수 있습니다.

[ 경기도 – 더경기패스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회원 중 경기도 주민
혜택 1만 35~39세 청년층 혜택 적용
혜택 2지급 회수 무제한

[ 인천광역시 – I 패스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회원 중 인천광역시 주민
혜택 1만 35~39세 청년층 혜택 적용
혜택 2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적용
혜택 3지급 회수 무제한

[ 부산광역시 – 동백패스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회원 중 부산 동백전 교통카드 이용자
혜택동백전 교통카드로 K 패스 회원가입 시 K 패스 적립 혜택 적용. 단, 환급금이 K 패스와 동백패스 모두 발생할 경우 둘 중 더 큰 금액만 지급.

[ 충남 – 광역 버스 전철 환승 혜택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교통카드 이용자
적립 조건충남버스 ↔ 수도권 1호선 전철 및 도시철도
적립 금액기본 요금 지급
비고1. 새천안교통, 보성여객, 삼안여객은 제외
2. 월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환승할인금액 지급
3. 티머니, 모바일티머니는 환승혜택적용 불가

[ 충남 – 광역 버스 환승 혜택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교통카드 이용자 중 충남 지자체 주민
적립 조건충남버스 ↔ 타지역버스 환승
(경기 / 대전 / 세종 / 충북 / 전북 버스로 45분 이내 환승)
적립 금액기본 요금 지급
비고1. 충남운수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환급 X
2. 3회 환승(탑승 4회)까지 적립
3. 월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환승할인금액 지급
4. 티머니, 모바일티머니는 환승혜택적용 불가

[ 광주광역시 – 광주G 패스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회원 중 나의 지자체가 광주광역시인 회원
혜택 135~39세 청년층 환급률 30% 적용
혜택 2만 65세 어르신 환급률 50% 적용
혜택 3저소득 환급률 64%로 확대

[ 경상남도 ]

구분내용
대상K 패스 회원 중 나의지자체가 경상남도인 회원
혜택 135~39세 청년층 환급률 30% 적용
혜택 275세 이상 어르신 환급률 100% 적용
혜택 375세 이상 어르신 1회 이상 이용 시 무제한 환급
혜택 4저소득 환급률 100% 적용
혜택 515회 이상 이용 시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 환급

K 패스 지급 안내

K 패스를 사용하여 적립된 금액은 적립 월의 익월 7영업일에 이용 중인 카드사로 최종 지급 금액을 보내드립니다.

일 2회 초과 이용 시 적립 금액이 높은 순서로 최대 2회까지 지급합니다.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적립 금액이 높은 순서대로 최대 60회까지 지급합니다.

매월 말일 자에 나의 지자체가 확정되어 지자체 혜택이 적용됩니다. 지자체 혜택은 별도의 가입 없이, K 패스 회원 중 해당 지자체 주민에게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

대중교통 월 이용 요금 20만 원까지는 전액 인정, 20만 원 초과시 이용 요금의 50%만 적용됩니다.


K 패스 자주 묻는 질문

Q. K 패스 신청 방법을 간단하게 알려주세요.

→ K 패스 신청 조건 : K 패스 전용 카드 소지 / 만 19세 이상 /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 등 본인인증이 가능한 수단 소지 /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K 패스 사업 참여 지자체 / 필수 이용약관 동의

→ K 패스 신청 절차 : K 패스 전용 카드 체크 ⇀ 약관 동의 ⇀ 본인 인증 ⇀ 주소지 체크 ⇀ 회원정보 등록

Q. K 패스는 출도착 버튼 안눌러도 되나요?

→ K 패스는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습니다.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~53%를 적립 후 지급합니다.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거리기반 적립금에서 이용요금 기반으로 변경되면서 앱 이용없이, 카드만 이용하시면 익월 7영업일에 정산하여 카드사로 지급요청됩니다. 지급요청된 적립금액은 카드사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됩니다.

Q.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 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
→ K 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 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